블로그

인터뷰 : 홍익대학교 도시건축대학원 이문주 교수

2023-08-09

안녕하세요. 필디 에디터단 13기 이건희 에디터입니다.

오늘은 제가 다니는 대학원 교수님 중 한 분께 부탁드려 인터뷰를 진행했는데요. 유학을 준비하시거나, 해외 건축사 특히나 미국 건축사를 생각하시는 분들에겐 도움은 한번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Q: 우선 인터뷰를 읽으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홍익대학교 건축도시 대학원 겸임 교수이고, 오오 건축에서 실무를 하고 있는 이문주입니다.

Q: 교수직을 하신 지 몇 년 정도 되셨나요?

이번 학기로 총 4학기, 2년 정도 되었습니다.

4 1

Q: 미국에서 건축로 활동하고 오신 거로 아는데 한번 이야기 해 주실 수 있나요?

건축''로 질문을 받았으니 라이센스(license), 자격증에 관한 이야기부터 해보겠습니다. 시험이 7개나 있고 취득하는 과정이 쉽지만은 않습니다. 어쨌든 미국 건축사와 한국 건축사의 활동이 크게 다르다는 생각은 안 합니다. 아무래도 건축사가 좋은 디자인에 앞서 의뢰인과 사용자의 건강과 안전에도 법적인 책임이 있는 전문적인 직업이니 그렇겠죠. 다만 미국 건축사협회의 역사가 더 오래돼서 건축가의 활동에 대한 지원 체계가 잘 잡혀있을 수밖에 없는데, 우리나라도 여러 시도를 통해 미국의 선례를 따라가려는 느낌이 듭니다.

Q: 그렇다면 미국에서 건축로서 활동은 어떤가요?

건축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들을 모두 건축가라고 할 수 있겠지만, 오랜 실무 경력과 작품 활동을 통해 건축가라고 불리는 게 자연스러운 일이긴 하죠. 미국이 한국보다 전반적으로 건축가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이 좋고 시간과 자본의 투자에 있어 좀 더 여유로운 건 사실입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이 막연하게 미국에서 건축가로 활동하는 데 있어 사회적 인식과 환경이 한국보다 더 좋다고 생각하는 것 같은데, 여러 다른 여건들과 문화적 차이도 있겠지만 미국의 역사적인 배경과 시행착오들을 거치며 발전된 시스템적인 지원 때문에 더욱 그런 게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미국 건축계도 그만의 개선되어야 하는 문제들이 있고 우리나라보다 부족한 점들도 있겠죠. 서로 좋은 점들을 배우고 모두가 더 좋은 환경에서 건축가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노력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IMG 3267

Q: 미국 생활을 하시면서 좋았던 점, 힘들었던 점이 있다면?

일단 생각 나는 건 가족과 떨어져야 한다는 점이 가장 힘들었던 거 같네요.

디트로이트와 시카고에 살았는데, 지역 특성상 산이 없었고 그러다 돌아와 보니 한국의 산들이 멋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나라 산천을 금수강산이라 표현하는데, 우리는 여기서 나고 자라다 보니 얼마나 아름다운지 잊고 사는 것 같아요. 우리나라에만 있는 것들이 더욱 소중하게 느껴졌습니다. 반면에, 제가 있었던 미국 중부는 여름이 매우 좋죠. 비도 거의 오지 않고 아름다운 호수들이 많은데 그런 부분들이 그립기도 하네요.

다른 문화를 많이 경험해 봤다는 점이 좋았고 미국에 있는 친구들에게 한국을 알릴 수 있다는 게 재밌었습니다.

마지막으로 한 가지 덧붙이면, 멀리서 찾아 헤매던 파랑새가 자기 집 처마에 있다는 말처럼 내 꿈을 좇아 유학길에 오르고 생활했지만 돌아와 보니 한국에서 이미 가지고 있던 것들 (가족, 문화, 환경 등)이 더 소중했던 거 같습니다.

daniel chekalov OxU08SFhPbI unsplash

Q: 이런 분들에게 미국 유학을 추천한다/혹은 이런 분들에겐 추천하지 않는다면?

유학 관련해서는 평소에도 기회가 되면 학생들에게 이야기해 주고 싶은 내용이 있었는데, 누군가에게 추천한다 추천 안 한다 보다는, 경험해 봤던 걸 기반으로 유학을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될 점들을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첫 번째로, 언어

유학을 생각한다면 언어를 최대한 준비해서 가야 한다고 생각해요. 제가 유학을 준비하는 당시에는 ‘건축 유학생들은 영어가 중요하지 않다. 포트폴리오가 더 중요하다’라는 이야기가 나왔고, 실제로 학교에 따라서는 건축과에서 요구하는 영어 점수가 다른 과에 비해 더 낮기도 했었습니다. 그런데도 영어 실력을 최대한 향상하고 갔으면 합니다. 건축이 아이디어로 시작되는 일이고 학교는 특히나 아이디어의 발전 과정에 관해 이야기하는 곳인데, 자기 생각을 잘 표현하고 토론하려면 언어가 기본이 돼야 지만 가능한 일입니다. 그래서 영어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두 번째는, 식상한 이야기이긴 한데 본인이 건축에 대한 열정이 있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유학한다는 것은 학교에서 공부하는 것뿐만 아니라 생소한 문화 안에서 생활해야 하는데 그런 점에서 어려움이 생기죠. 타지, 타 문화생활에서 생기는 문제점들과 어려운 상황을 이겨내려면 본인이 건축에 대한 열정이 있어야만 가능한 거 같습니다. 그리고 감사하는 마음이 있었으면 합니다. 유학이란 게 인생에 있어서 큰 투자인데 실력을 갖추고 준비가 되어도 주변 상황이 여의찮은 경우도 있으니, 본인이 갈 수 있음에 감사함을 느꼈으면 합니다.

마지막으로, 본인이 가고자 하는 학교에 대한 조사는 당연한 거고 그 이전에 미국 유학이 어떤 건지 왜 미국인지 생각을 해봤으면 합니다. 유학을 하면 자신이 속했던 사회 문화에서 벗어나 생활해야 하는데 미국 문화나 전체적인 미국의 특징 그리고 학교와 그 지역 문화가 본인과 얼마나 맞는지 확인해 봤으면 좋겠습니다.

제가 유학을 하러 갔을 때는 학생들이 미국 유학을 많이 갔는데, 이전엔 프랑스 등 유럽에도 많이 갔었습니다. 세계 다양한 여러 나라가 있는데 단지 많은 학생이 미국 유학을 하러 가기 때문에 나도 따라서 선택하기보다는 ‘내가 왜 미국 유학을 가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자신에게 진지하게 던져보세요.

추가로 미국의 건축 학교들에 전반적인 관심을 두고 조사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80, 90년대부터 미국의 건축 교육을 이끌어왔던 사이악, 쿠퍼 유니언, 콜롬비아 등의 학교들이 있는데, 그런 학교들이 어떤 식으로 이끌어왔는지 어떤 건축가들이 그 학교에서 가르쳐 왔고 현재 가르치고 있는지 등을 자세히 조사해 보는 거죠. 막연히 좋은 학교 다가 아니라 왜 좋은 학교인지 의문을 품으면 좋겠네요.

ryan ancill 0w1MiTY78h0 unsplash

Q: 교수직을 하시며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느낀 점 혹은 인상 깊었던 점

개인적으로 한국에서 처음 강의하면서 느낀 건, ‘내가 왜 미리 강의를 시도해 보지 않았는가?’였습니다. 강의하면서, 특히 설계 스튜디오 강의에서는 제가 ‘무언가를 가르쳐 주는 사람’이 아니라 저 자신이 ‘가장 많이 배우는 사람’ 같습니다.

학생들도 각자의 작품들을 하면서 그리고 다른 학생들의 작품을 보면서 배우는 게 많지만 제가 스튜디오를 진행하면서 공부하게 되고 배우게 되는 것 또한 많습니다. 제 경력의 이른 시점에서 시작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합니다. 강의실에서는 교수 학생 입장을 떠나 모두가 배워 갈 수 있죠. 생각보다 정말 많이 배울 수 있는 자리인데, 결국 어느 위치나 상황에 처하건 배우고자 하는 자세가 중요하겠죠. 그 자세에 따라 결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들의 차이는 클 수밖에 없고요. 그게 가장 크게 느낀 점인 것 같네요.

Q: 이 스튜디오 수업을 (2년 정도) 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작품들이 있다면?

가장 기억에 남는 다기보다는 몇몇 작품들일 수 있는데, 한 가지 말할 수 있는 건 제가 학생들의 작품을 예측하거나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이죠. 학기 초에 기대했던 학생이 작품을 끝까지 잘 발전시키지 못하기도 하고, 큰 기대를 하지 않았던 학생이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내는 등, 제가 컨트롤할 수 없는 부분들이 많습니다.

학기 말에 완성도 높은 작품들도 기억나지만 결국 한 학기 동안 학생들과 인상 깊게 이야기했던 내용이 가장 오래 기억에 남을 것 같네요. 많은 대화와 토론을 통해 예상치 못했던 방향으로 잘 발전된 작품들이 생겼을 때가 가장 뜻깊었습니다.

Q: 건축을 공부하는 학생분들이 이건 알았으면 좋겠다 하는 미국의 건축가/건축물이 있나요?

간략히 추리기는 어려운 거 같습니다. 학생들을 위해서 말하면, 수많은 알려진 미국 건축가들 중 바로 떠오르는 유명한 건축가들이 있죠. 미스 반 데어 로에,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루이스 칸, 로버트 벤투리, 피터 아이젠만 등 익숙한 건축가들이 있는데 그만큼 너무 익숙해서 깊이 아는 데에는 소홀한 것 같습니다. 그런 거장들의 작품들이 왜 중요한지 그런 작품들이 건축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등 본인이 좋아하는 건축가를 깊이 공부하면 좋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작품 이야기하자면, 많은 작품들이 있지만만 모포시스(Morphosis)의 작품 중 41 Cooper Square가 저에게 가장 인상 깊게 다가왔습니다.

image 14

좋아하는 건축가를 뽑자면 작품뿐만 아니라 건축가의 특정한 특성 때문에 좋아하는 거 같습니다. 에릭 오웬 모스 같은 경우 말하는 방식과 설명하기 어려운 카리스마, 피터 줌터 같은 경우 주어진 자리에서 자신만의 건축을 오래 해왔다는 사실 등이 떠오르네요. 유명세나 시대적인 흐름을 쫓는 게 아니라 본인의 자리에서 주어진 일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계속해 왔다는 사실이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
건축은 라이프 롱 프로세스(lifelong process)고 수많은 프로젝트가 있지만
"

"
모든 게 본인에겐 하나의 프로젝트 (single project)이다.
"

"
인터뷰 中
"

Q: 마지막으로 건축을 공부하는 학생분들에게 한마디 부탁드립니다.

건축이 시간이 되게 오래 걸리는 일이잖아요. 다른 예술 작품들보다도. 물론 문학작품을 쓰기 위해서 5년 10년씩 걸리기도 하겠지만 건축물도 5년 10년, 프로젝트의 상황에 따라 길게는 더 오래도 걸리죠. 인내심이 정말 필요한 일인 거 같아요. 굉장히 긴 시간과 노력이 들어갑니다.

그 인내심이 중요하단 생각으로 앞으로 계속 공부했으면 좋겠습니다. 빨리 어떤 성과나 결과를 보려고 하는 것보단,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그걸 즐기는 자세가 필요한 거 같습니다.

최근에 에릭 오웬 모스 사이악에서 강연했는데, 내용 중 그가 50년이 넘는 커리어 동안의 수많은 프로젝트의 이미지들을 스크린에 쭉 보여준 다음 이게 ‘하나의 프로젝트(single project)’라고 했습니다. 건축은 라이프 롱 프로세스(lifelong process)고 수많은 프로젝트가 있지만 모든 게 본인에겐 하나의 프로젝트라는 생각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건축가로서 디자인하고 건축물을 완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나 자신의 삶도 함께 완성할 하나의 프로젝트라고 생각하는 건 어떨까 싶네요.


인터뷰에 응해주신 이문주 교수님께 다시 한번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하고 여기까지 이건희 에디터였습니다.

#해외유학 #홍익대학교 #홍익대도시건축대학원 #미국유학 #미국건축사 #건축유학 #인터뷰

KakaoTalk 20230221 153032854 01 1

주식회사 필디스터디 l 대표 김석현 l 개인정보책임자: 김석현
서울시 성동구 마장로42길 16
MAIL. contact@feeeldstudy.com
사업자등록번호: 547-88-03047 | 통신판매업 등록번호: 제 2023-서울성동-0998호
Copyright 2024 © feeeldstudy